취코, 취하다 코딩에~

리눅스 설치, 백업, 잡오류 본문

프로그래밍/리눅스

리눅스 설치, 백업, 잡오류

drinkcode 2018. 2. 8. 14:54
리눅스를 설치할려면 8G 이상 되는 요량으로 외장하드나 usb 두개가 있어야 한다.
설치도구로는 8G여도 충분하지만 OS로 쓸 USB는 대용량이어야 좋다.

우분투 - 프로그램 안정성이 뛰어나 좋타

설치 하기위한 프로그램
Bootice - MBR과 포맷 담당, Ultraiso - iso 삽입, win32 disk manager - 이것도 iso 삽입인데 오류날 때 쓰면 괘안타

설치과정
iso를 설치도구에 굽고 설치 usb와 설치 될 usb를 둘다 꼳는다.
그리고 설치 될 usb는 포맷을 먼저 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그냥 설치하면 끝난다.

네트워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는 그냥 잡으면 된다.
유선 네트워크는 지금 usb를 삽입한 컴퓨터가 동적 ip할당인지 고정 ip할당인지 봐야한다. pc방에서 고정ip인데 이것 때문에 이상한거 찾아가 삽질ㅠㅠ
고정 ip일 때 고정 ip를 설정해주고 "사용 가능하면 자동으로 이 네트워크에 연결"을 선택 해제 한다.

Fcitx - 한영 변환키 설정할 때 이걸로 한다.

리눅스에서 압축푸는 도구로는 7zip, rar 둘다 깔아야 오류가 안걸린다.

백업


tar압축패키지로 전체 시스템 백업하기.. 

백업에 제외할 디렉토리를 정한다. 쓸모없는 디렉토리와, 백업파일 자신을 꼭 제외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다른 파티션의 하드를 마운트한 /mnt 등의 디렉토리도 제외시켜야 불필요한 용량증가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media   /dev 등의 디렉토리도 빼주자. /sys, /dev 는 가상적인 디렉토리이다. 백업이 완료된 후 에러매세지를 볼수가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무시해도 된다.

 

백업 

1. 루트로 이동

#cd /

 

2.전체 시스템을 백업

#tar cvpzf backup.tgz --exclude=/proc --exclude=/lost+found --exclude=/backup.tgz --exclude=/mnt --exclude=/sys /

여기서 마지막에 이동폴더를 / 로 표시한다.

 

복구

1. 루트로 이동

#cd /

 

2. 압축을 풀어 복구

#tar xvpfz backup.tgz -C /

마지막의 -C / 옵션때문에 백업파일이 루트가 아닌 다른 곳에 저장되어있는 상태라도 상관없다.

 

 백업에서 제외했던 디렉토리는 직접 만들어 주어라
#mkdir proc
#mkdir lost+found
#mkdir mnt
#mkdir sys

재부팅을 하면 백업전과 똑같은 상태로 돌아 갈 것이다.


잡오류

1. 소프트웨어 센터문제일 때 해결 명령어sudo apt-get install --fix-broken

2. Avahi 네트워크 문제

툴 같은 것들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Ubuntu 여러 버전을 만들어 놓고 있는데

잊을만하면 나오는 기분나쁜 메시지 !!!



대체 Avahi 라는 놈은 뭔데 나를 기분 상하게 하지!?

심지어 이것때문인지 오류 보고까지 하겠다고 한다. 아! 기분나빠!






Avahi가 뭔지 열심히 검색을 해보았더니,

Zeroconf(Zero configuration networking)의 Linux 환경을 위한 구현체라고 한다.


Zeroconf라는 놈은 또 무엇일까 열심히 검색을 해보았더니,

DHCP가 없는 환경에서도 수동 설정 없이 자동으로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Apple의 Bonjour와 같은 놈!)


뭐 지금 이 놈에 대해서 깊이 공부하는 시간은 아니니...여기까지만 하기로 하고...



결론적으로,

이러한 Avahi의 알려진 버그로 인해서 특정 ISP 환경에서는 위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보인단다.


그래서 저런 메시지가 나오지 않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sudo nano /usr/lib/avahi/avahi-daemon-check-dns.sh


AVAHI_DAEMON_DETECT_LOCAL=1


→ AVAHI_DAEMON_DETECT_LOCAL=0


하나 더!


$ sudo nano /etc/default/avahi-daemon


AVAHI_DAEMON_DETECT_LOCAL=1


→ AVAHI_DAEMON_DETECT_LOCAL=0



그럼 이제는 재부팅~




'프로그래밍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번에 끝내는 Ubuntu 웹서버세팅 (우분투 서버세팅)  (0) 2018.02.08
WGET 명령어  (0) 2018.02.08
ubuntu에서 java 환경변수 설정  (0) 2018.02.08
리눅스 정리  (0) 2018.02.08
profile,bashrc차이점  (0) 2018.02.0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