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코, 취하다 코딩에~

오리지널스 - 애덤그랜트 본문

책&강연&칼럼/초서

오리지널스 - 애덤그랜트

drinkcode 2018. 2. 9. 08:45

창의력을 발휘하려면 실수를 많이 해봐야 한다. 어떤 실수가 건질 만한 실수인지 식별해내는 것이 비결이다. - 스콧 애덤스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지닌 사람이 그 아이디어를 실행하는데 성공할지 여부를 예측하려면, 아이디어를 낸 당사자가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얼마나 열정이 있는지 보다는 그들의 행동을 통해 얼마나 실행 의지가 강한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단점을 오히려 내세우는 것 - 사릭효과

위험회피성향이 강한 사람이 기업가로서 더 적절한 재능일 수도 있다.

적절한 시기를 포착하는게 가장 중요하다.

긴장을 할 때 '신난다'고 생각하는 자기최면

"친구를 가까이 둬라. 하지만 적은 더 가까이 해라" 그렇다면 깔끔하게 어느 한쪽으로 분류되지 않은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양면적 관계는 적관께보다 해롭다.
오히려 이런 사람들을 적대하는게 맞다. "일관성 없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 사람들을 상대하려면 감정적 에너지가 더 많이 소모되고, 상황을 타개할 방책들이 더 많이 필요하다."
차라리 이런 관계를 내치고 적을 내편으로 만드는 것이 확실한 내편이 되준다.

과격한 표현을 최대한 왜곡해서 표현하는걸로 시작한다. 우리의 가치를 채택하라고 상대방을 설득하지 말고, 우리의 가치를 상대방이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시켜줄 수단으로 제시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의 가치관을 바꾸기는 어렵다. 우리의 목표를 상대방이 이미 지니고 있는 익숙한 가치와 연결시키는 방법이 훨씬쉽다.

"진정으로 열정적인 사람들은 열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열정을 가슴 속에 간직한다 - 에릭슈미트, 조너선 로젠버그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고 싶다면 우선 인정을 받는게 먼저다.

산업 부문을 불문하고 청사진에 대해서는 세가지 두드러진 유형이 있다. 바로 전문가, 주역, 헌신이다. 헌신형 청사진을 염두에 두 창립자들은 다소 다른 방식으로 직원들을 채용했다. 회사가 표방하는 가치, 규범과 어울리는 사람들을 최우선적으로 고용했다. 헌신형 청사진을 선택한 창립자들은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방식도 독특했다. 전문가형이나 주역형 청사진을 채택한 창립자들은 직원들에게 자율권을 주고 도전해보려는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작업을 맡겼다. 한편 헌신형 청사진을 채택한 창립자들은 직원들과 조직 간에 강한 감성적 유대감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들은 조직 내의 동료애를 설명할 때 "가족"이나 "애정"같은 단어들을 자주 사용했고, 직원들은 조직이나 조직이 추구하는 사명에 대해 매우 열정적인 탣를 지니고 있었다. 창립자들이 헌신형 청사진들을 선택한 기업은 실패율이 '0'이었다. 단 한 기업도 파산하지 않았다.
주의할점은 헌신형 기업을 선택할 때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포용할줄 아는 조직문화를 조성하여야 더욱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

상사인 자신을 비판하지 못하는 직원은 가차 없이 해고하는 억망장자 금융 귀재

고차원적사고, 실용적 사고, 높은 기준을 유짛는 능력, 결연한 의지, 열린 마음과 확고한 자기의견 겸비,  일의 우선수위 정립능력과 신뢰도 등 77가지 측면에서 신뢰도를 측정하고 신뢰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브리지워터 직원의 97퍼센트는 직원들이 서로에게 지나치게 솔직할까봐 걱정한 것이 아니라 솔직해야 한다는 원칙을 잘 지키지 않을까바 걱정했다.

"자기주장을 할 때는 자신이 옳다는 태도로, 남의 의견을 경청할 때는 자신이 틀리다는 태도로 임하라.

달리오가 조사해온 독창적인 인물이란
그들은 호기심이 많고, 대세에 순응하지 않았고, 반항적이었다. 그들은 잔인하리만큼 정직했고, 위례질서에 맞설 만큼 정직했다. 그리고 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신념을 실천했다. 성공하지 못할까바 두려운 마음이 실패할까봐 두려운 마음보다 컷기 때문이다.

아이디어에 대한 친숙함을 높이기에 여러번 노출하고, 다른 아이디어들과 섞어서 제시하며, 친숙한 표현을 쓸 것

"종다", "사랑한다", "싫다" 같은 단어를 금지하라. 이런 단어를 쓰면 냉철하게 문제를 분석하지 않고, 감정저으로 반응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지구언들은 그 웹페이지보다, 이 웹 페이지가 더 마음에 든다고 말하면 안 된다. 이를테면 "이 웹페이지가 더 낫다. 다른 페이지들보다 제목의 가독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와 같이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해결책을 요구하지 말고 문제점을 제시하게 하다.

악마의 변호인은 지명하지 말고 문색하라.



'책&강연&칼럼 > 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네기 말  (0) 2018.02.09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0) 2018.02.09
말공부  (0) 2018.02.08
의심  (0) 2018.02.08
짐 로저스 일침  (0) 2018.02.08
Comments